한국사능력시험에서는 경제와 사회 파트는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비중을 두고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온다면 주로 세법이 나옵니다. 세금 체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기억해 두면 됩니다. 농사짓는 사람들은 크게 3가지 세금을 내야 했습니다. 전세, 공납, 역이 바로 그것입니다. 전세는 토지에서 나오는 생산량의 일부를 내는 것이고, 공납은 그 지역의 특산물을 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역은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어떤 기준으로 냈는지는 시대에 따라서 달라졌습니다. 지금부터 그 달라진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토지제도와 세금제도의 변화 전세 중 하나인 과전법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이전에 위화도 회군을 통해서 최영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한 후 경제력을 장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