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

챕터21. 조선 후기 정치

15세기를 이끌고 있었던 역성혁명파의 후손들이 훈구파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사림에 의해서 교체가 되었고, 16세기 이후부터는 사림들이 주도세력으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사림들도 권력을 장악하게 되면서 여러 파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림의 인원은 많은데 반해 중앙 관직의 수는 한정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들은 서로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뭉치게 되었는데, 이것을 붕당이라 불렀습니다. 대표적인 당은 동인당과 서인당이 있었습니다. 동인당의 우두머리는 김효원이었습니다. 그가 한양에서 동쪽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에 동인이라 하였습니다. 서인당의 우두머리는 심의겸으로 서쪽에서 살고 있어서 서인이라 불렀습니다. 이들은 인사권을 쥐고 있는 자리를 두고 권력투쟁을 벌였습니다.인사권은 이조에 ..

챕터 1. 선사시대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구석기와 신석기시대 이 파트는 굳이 많이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로 1번 문제에 출제되는데, 출제자들이 응시자에게 맞추라고 내는 문제입니다. 구석기시대는 식, 의, 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 당시에는 먹는 것이 가장 중요했으므로 식이 가장 먼저 나옵니다. 구석기시대는 사냥하고 채집하고 자연이 주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갔습니다. 옷 또한 자연이 주는 그대로 나뭇잎, 가죽 등으로 만들어 입었습니다. 집도 이동 생활을 하면서 좋은 동굴이 있으면 살고, 없으면 나뭇잎을 엮어서 살았습니다. 이것을 막집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자연이 주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갔지만 도구를 사용해서 조금 더 편리하게 살았다는 점에서 동물과 차이가 있습니다. 구석기시대의 도구는 뗀석기입니다. 대표적인 도구로 주먹도끼가 ..

20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 효과적인 공부 방향

다가오는 2월 17일 올해 첫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있습니다. 작년까지 6회였던 시험이 올해부터는 4회로 축소돼서 시행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험은 심화와 기본, 이렇게 2종류가 있으며 점수에 따라 1급에서 6급으로 나뉘게 됩니다. 총 문항수 50문제 중에 30문제는 전근대에서 20문제는 근현대에서 출제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시험범위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합니다. 70만 년 전 구석기시대 때부터 출발해서 B.C(예수탄생이전), 대략 우리 역사를 본다면 선사시대와 철기시대까지가 이에 해당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역사라고 이야기할 때 고구려, 백제, 신라를 많이 얘기하는데 그 시대는 A.D로 분류됩니다. 지금의 2000년대가 시작됐던 1년부터가 일반..

반응형